파인애플
컴퓨터 키보드의 명칭과 기능 설명 본문
하지만 무엇이든 시작이 반이라고 했다.
열심히 익히다 보면 키보드도 익숙해진다.
출처 : 한국정보화진흥원 국민정보화교육 전자도서관 자료실
( 키보드 그림은 본문 맨아래에 첨부파일로 추가했으니 필요하면 다운 받으면 되겠다.)
키보드의 각 명칭과 기능에 대한 설명
Esc(이에스씨)
작업을 취소한다. 전체화면에서 원래 화면으로 복귀한다.
Tab(탭)
구성요소를 이동하면서 선택할 때 사용한다. 편집기에서 탭키를 누르면 8칸을 건너 뛴다.
Caps Lock(캡스락)
영문 대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한다.
Caps lock 램프에 불이 들어와 있으면 Caps Lock키가 작동되고 있는 것이고 대문자가 입력된다.
컴퓨터를 켰을 때의 정상적인 상태는 Caps Lock키의 램프가 꺼져 있는 것이고 이때는 소문자가 입력된다.
Shift, Ctrl, Alt 와 같은 기능키를 사용하는 방법
기능키를 먼저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키를 누른다 . 입력이 끝나면 기능키를 놓는다.
Shift(쉬프트)
자판에 상하에 문자가 있는 경우에 상단에 문자를 입력할 때 Shjft키를 누르고 해당 자판을 클릭한다.
예를 들면 키보드 좌측에서 숫자 1을 누르면 당연히 1이 입력된다.
그렇지만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 1을 누르면 !( 1 위에 있는 기호)가 입력된다.
대문자를 입력할 때 Caps Lock키를 사용하지 않고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영문자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영문자는 대문자로 입력된다.
Ctrl(콘트롤)
Ctrl키는 다른 키와 조합해서 기능키로 사용한다.
예를 들면 복사하기는 Ctrl +C 다.
C는 Copy의 약자다) 붙여넣기는 Ctrl + V다.
V는 C키 바로 옆에 있어서 작업이 편리하게 할 수 있다.
잘라내기는 Ctrl + X 다. X는 가위와 비슷한 모양으로 가위를 생각하면 된다.
Alt(알트)
Alt 키는 Ctrl키와 마찬가지로 다른 키와 조합해서 기능키로 사용한다.
예를 들면 메모장에서는 Alt +F는 파일 메뉴를 누른 것과 같다.
한자키
이미 입력한 한글을 한자로 바꾼다. 메모장에서 한글을 한자로 바꿀 때는 한 글자를 쓴 후에 한자 키를 누른다.
바탕화면 왼쪽에서 한자목록이 표시되는데 해당되는 한자를 클릭하면 한글이 한자로 바뀐다.
스페이스 바
문자를 입력할 때 빈칸(공백)을 만든다.
한/영
한글, 영문자의 입력 상태를 변경한다. 입력도구 모음에 한/영 상태가 표시된다.
Enter(엔터)
입력이 끝났음을 알려주는 키보드다. 문서편집 프로그램에서 문단을 바꾼다.
백스페이스(←)
커서 왼쪽의 글자를 지운다.
결과적으로 왼쪽으로 가면서 글자를 지운다.
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는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을 한다
Insert(인서트)
문자를 입력할 때 삽입 상태로 변경한다.
예를 들면 문서 편집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삽입 상태로 되어 있다
이 상태에서 글자를 입력하면 이미 입력한 글자는 그대로 있고 현재 입력한 글자가 추가로 입력된다.
하지만 Insert키를 누르고 삽입 상태로 변경한 후 글자를 입력하면 이미 입력한 글자는 지워지면서 현재 입력한 글자가 입력된다.
Delete(딜리트)
커서 오른쪽에 있는 글자를 지운다.
글자를 지우는 것은 백스페이스 키와 같지만 글자를 지우는 방향이 다르다.
Home(홈)
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맨 앞으로 커서를 이동한다.
End(엔드)
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맨 뒤으로 커서를 이동한다.
Page Up(페이지 업)
페이지를 한 페이지 이전 페이지로 이동한다.
Page Down(페이지 다운)
페이지를 한 페이지 다음 페이지로 이동한다.
방향키
커서를 해당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.
Number Lock(넘버 락)
키보드 오른쪽에 위치한 키패드에서 숫자를 입력할 때 사용한다.
넘버 락 램프에 불이 들어와 있으면 넘버 락 키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이때는 숫자가 입력된다.
넘버 락 램프에 불이 꺼져있으면 넘버 락 키가 작동하지 않으니 숫자가 입력되지 않고 방향키의 기능을 한다.
기능키 F1 ~ F12
기능키는 해당 프로그램에서 특정한 기능을 한다.
예를 들면 바탕화면에서 또는 특정 프로그램에서 F1키는 도움말을 보여준다.
F11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전체화면을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.
키보드의 기호 및 명칭
! 느낌표 (익스클래메이션 포인트, Exclamation Point) |
“ 따옴표 (쿼테이션 마크, Quotation Mark) |
# 크로스 해치 (Crosshatch), 보통 샵이라 함 |
$ 달러사인 ( Dollar Sign) |
% 퍼센트 사인 (Percent Sign) |
@ 엣 사인 ( at Sign) |
& 엠퍼샌드 (Ampersand, and의 이름) |
; 세미콜론 (Semicolon) |
} Right Brace (라이트 브레이스) 닫기 중괄호 |
] Right Bracket (라이트 브래킷) 닫기 대괄호 |
‘ 어퍼스트러피 (Apostrophe), 생략부호 |
* 애스터리스크 (Asterisk) |
- 하이픈 (Hyphen) |
. 마침표 (Period) |
/ 슬래시 (Slash) |
백 슬래시 (Back Slash) |
: 콜론 (Colon) |
{ Left Brace (레프트 브레이스) 열기 중괄호 |
[ Left Bracket (레프트 브래킷) 열기 대괄호 |
< Left Angle Bracket (레프트 앵글 브래킷) 열기 꺽음괄호 |
> Right Angle Bracket (라이트 앵글 브래킷) => 닫기 꺽음괄호 |
| Vertical Bar (버티컬 바) => 세로 막대 |
~ Tilde (틸드) |
'하드웨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텔 HD 그래픽스 에서 hdmi 케이블 TV에 연결했는데 소리가 안 나는 경우 (4) | 2015.03.04 |
---|---|
그래픽카드 교체 하기 어렵지 않다 (0) | 2015.03.04 |
IPTIME usb무선랜카드 n150ua 리뷰 (0) | 2015.03.04 |
컴퓨터와 TV에서 HDMI 케이블 연결하는 방법 (0) | 2015.03.04 |
내장 그래픽 카드 업그레이드 하기 (0) | 2015.03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