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인애플
한글 자동 저장된 파일은 어디에 있을까 본문
한글 자동 저장된 파일은 어디에 있을까
우리나라에서는 MS워드 보다는 한컴 한글 프로그램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
그래서 이런 질문도 많다
한글 문서 작성하다가 저장안함을 하고 클릭을 했는데 ㅠ
나중에 그 문서를 찾을 수 없나요?
어디에 자동으로 저장되지 않았을까요?
이에 대한 답은 아래 글을 읽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.
한글 2010등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는 자동저장 기능이 있다.
이 기능은 문서를 작성하는 중에 비정상적으로(프로그램오류, 정전) 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를 대비해서 문서를 자동 저장하는 기능이다.
만약 문서를 작성 중에 갑자기 컴퓨터가 꺼졌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않았어도 한글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할 때 다음과 같은 윈도우가 나타난다.
[ 이전에 한글로 문서를 편집하던 중 비정상적으로 끝낸 적이 있습니다.
자동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려면 불러옴을 선택하세요
취소를 선택하면 자동 저장된 파일은 지워집니다. ]
[문서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보관을 위해서는 저장을 하세요.
저장하지 않고 문서를 닫으면 자동 저장된 문서는 지워집니다.]
이전에 ㅎㆍㄴ글로 문서를 편집하던 중 비정상적으로 끝낸 적이 있다면 자동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려면 “불러옴”을 클릭한다.
대화상자에서 불러옴을 클릭하면 저장된 문서가 열린다.
만약 “취소”를 선택하면 자동 저장된 파일은 지워진다.(그러니까 문서를 살리면 취소를 하면 안 된다.)
이것은 사용자가 문서를 저장하지 않은 경우에도 한글의 자동저장 기능으로 저장된 문서를 불러오는 것이다.
하지만 자동저장으로 100% 꼭 저장된 문서를 복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.
자동저장기능은 한글 메뉴에 어디에 있을까
자동 저장 메뉴 설명
무조건 자동저장
말 그대로 무조건 문서를 저장하는 것이다.
그런데 무조건은 아니고 저장을 한 이후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문서를 자동 저장한다.
저장 시간 간격은 1~60분까지 설정할 수 있다.2. 쉴 때 자동저장
쉴 때(키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) 문서를 자동 저장하는 기능이다.
저장 시간 간격은 1~360초까지 설정할 수 있다.
[쉴 때 자동저장]은 한/글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동작한다.
예를 들어 한/글 프로그램에서 문서를 작업하다가 [윈도우 탐색기]를 실행해 작업을 하면 [쉴 때 자동저장]에서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자동저장이 동작되지 않는다.
한글2010 자동저장 폴더위치
자동 저장되는 파일의 위치를 궁금해 하는 사용자가 많은 것 같다…….
한글에서 자동저장 파일이 저장되는 '임시 폴더'는 [한컴오피스 한글 2010 정보-폴더 정보]에서 확인할 수 있다.
자동저장 파일(*.asv)이 남아 있는 경우, 남아 있지 않는 경우
한글의 문서 자동저장 기능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 대비해 자동저장 하는 기능이다.
하지만 한글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끝내고 나가면 이 자동저장 파일은 지워진다.
예를 들어「사랑」은 이라고 쓴 후 문서를 저장을 한다.
1분 후「언제나」를 쓰고 다시 1분 후 「목마르다」를 쓴다.
이 문서는 저장을 1번 했기 때문에 계속해서 문서 자동 저장 기능이 작동되고 있다.
그렇다면 프로그램을 끝낼 때 「저장 안 함」을 클릭하면 이문서가 최종 작성시점까지 저장이 되는 것일까.?
정답
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자동저장이 안되어 있다.
결론
문서를 작성할 때는 저장하는 것을 생활화한다.
그러니까 문서를 작성한 후에 끝내기를 할 때 저장안함을 선택하면 마지막까지 작성한 내용이 저장이 안 된다.
저장 안 함을 클릭하는 순간 자동 저장된 내용도 동시에 사라진다.
그러니 계속 보관을 해야 하는 문서는 반드시 저장을 하고 프로그램을 끝내야 한다.
자료 참고 한글 2010 도움말
'문서 편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태극기 그리기 그림 파일 (0) | 2016.03.17 |
---|---|
한글 2010에서 그림 넣었는데 안보이면 이렇게 하자 (0) | 2015.03.01 |
한글 한영 자동 변환 기능 끄는 방법 (0) | 2015.02.28 |
한글 2010에 문서마당과 이력서는 어디에 있나 (0) | 2015.02.26 |
한글문서 이력서에 사진 넣는 방법 (1) | 2015.02.23 |